John Rogers 조명 & 디자인

Design, Technical and Pre-Visualisation

과정

거만하게 들리지 않도록 조심하고자 하며, 기술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간결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디자인에 영감을 주는 사진을 찍으면, 저는 빠르게 3D 디자인 소프트웨어 (아래 비교에서 사용된 Capture)를 초기 스케치를 시작하고나 최종적인 아이디어를 염두에 두고작업을 시작합니다. Capture는 AutoCAD, Vectorworks, SketchUp과 같은 다양한 도구와 호환 가능한 파일 형식을 지원하여, 세트 제작자, 영상 디자이너, 리거들과 협업을 통해 무대의 모든 요소를 통합할 수 있습니다.

Brixton Academy – Capture 2024로 렌더링
Brixton Academy takenBrixton Academy – iPhone 14 Pro로 촬영

그다음 단계는 특정 조명, 프로젝터, 레이저, LED 월, 특수효과 장치 등을 사용하여 시각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조명 콘솔에서 쇼를 사전 프로그래밍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지 이미지와 영상 렌더를 제공합니다.

참고: 현재로서는 Unity와 같은 엔진이나 AI 이미지 생성 도구를 무대 연출에 활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조명의 광도 및 장치의 물리적 특성을 렌더링에 반영하고자 하는 이유에서 입니다. AI는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는 데 유용한 도구라고 생각하지만, AI가 창작 과정 자체를 주도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서 이벤트의 분위기와 느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준비 및 사전 제작하는 데에 확실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추가적으로, 설계의 물류를 장소, 제작 관리자, 기술진에게 전달하기 위한 플롯과 기술 문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후 프로그램 설정, 쇼 준비, 운영 단계로 이어지며, 타임코드 기반 프로그래밍 시 Cuepoints와 같은 협업 도구를 활용합니다. 리허설을 거쳐 마침내 공연을 선보이게 됩니다.

사전 제작에 투자한 시간은 공연 당일 몇 배의 가치를 발휘합니다. 무엇보다도 개념에서 공연까지 완성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보람 있는 경험입니다. 이 과정이 제가 제 일을 사랑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